시민제안

  1. 제안접수
    2018.02.21.
  2. 제안검토완료
    2018.02.21.
  3. 50공감 마감
    2018.03.23.
  4. 부서검토
  5. 부서답변
    - 요청전

사회적경제활동시민권? 동의서

스크랩 공유

송 * * 2018.02.21.

시민의견   : 0

정책분류기획

최초의 경제활동은  사람의 활동이다
자연물  채취 ㅡ 광물 작물 수산물 기름 물 등
가공 ㅡ 의류 플라스틱 강철 등
편리 효율 발전의 가공의 가공ㅡ 핸드폰 자동차 조선 인터넷 통신 전기 자기 등

다른지역과 비교했을 때 지역차이
활용도차이
자동차가 많은 곳 오토바이가 많은 곳 
사막 ㅡ지역적특성에 따른 필요한 것
포화상태ㅡ 무한이 아닌 정량이라면
순환하는 법칙  ㅡ 자원과 재화 등의
모든 것은 고유의 리듬이 있다?

쓰여지는 것과 만들어지는 것의 균형 속도조절

환경ㅡ순환균형이 무너지면 쓰레기  대기오염
자원ㅡ 기름  석탄 철강 농수산의 남용과 부족

공정무역

고급화를 통한 진화를 통한 ㅡ 활용
꼭필요한 필수적인 것이 드러남 ㅡ 적절성

균형 속에서
진실된 발전으로 거듭남ㅡ
무엇이 필요하고 필수적이고
덜 필요하고 부수적인가

지역적인 입장에서의 ㅡ
자연환경ㅡ농수산광물인적자원 지리 교통 정보
사람이 주체- 사람다운 삶 중심
-환경의 주체는 사람ㅡ 당사자)사람이 행복해야

어디에서 시작해야하는가
물음ㅡ

무엇이 문제인가

무엇을 먹고 살 것인가 
어떻게 살 것인가 
ㅡ세상 속의 자신
세계속의 지역
지역이 모여 세계가 된다ㅡ 균형) 전체적인 뼈대를 유지한채 지역적 특성 속에서 안정과 행복과 균형을 도운다ㅡ 무엇을 공유하고 무엇을 지킬것인가 ㅡ 주체인 자신을 중심으로 생각

무엇을 할수 있는가 
ㅡ 발전과 발전의한계 즉 균형점은 있는가ㅡ 36.5 도처럼 적정한 온도가 있는가ㅡ자원이 만들어지고 쓰여지는 속도의 균형처럼 ㅡ인체의 영양분의 순환) 돈자원의 순환 ㅡ 모두가 건강해지는 각자의 고유의 리듬과 흐름이 있다? ) 돈은 소통의 필수적 수단인가) 그렇다면 공정무역은 어떻게 지킬것인가) UN 의 강화는 필수적 ㅡ 세금이 몇프로인가) 전체적 균형질서 보호 강화 아래 개별적 안정과 행복 자유추구

자동차 선박 핸드폰의 발전ㅡ 포화상태일까 수요 공급ㅡ 사람은 어느정도의 상태에서 만족할까ㅡ적정한 균형의 상태가 있다? ㅡ지구온난화  자연오염 생태계오염 불균형이 있다는 것은) 전체는 하나의 제한적인 몸ㅡ균형상태가 있다?ㅡ 사람의 만족에도 건강해지는 적정 고유의 리듬 상태 균형점이 있다 ㅡ 수소전기자동차에서 수소내연기관자동차로 발전한 기술이 되면 어디까지 활용할수 있나) 자원의 발견 개발은 무한한가 아파트에는 소형전기발전소가 있으면 활용가능하나 ) 자율주행이 발전하면 비행자동차 방향으로 흘러갈수도 있을까) 자원은 보편 충분한가)균형점을 찾는 것이 기술개발인가) 그렇게 되면 사람이 바라는 생활에 가까워지나) 세상전체가 제한적이라면 세계적인 정보와 모임 협력 교류를 통한 정보의 지역화로 지역과 세계 전체의 균형을 찾아갈수 있을까) 내가 무엇을 할수있는지 무엇을 원하는지 모르겠다면 자신이 모여 세상이 되기에  세상 전체가 무엇을 원하는지 무엇을 하는지 알면 참고가 될까)
그러고나서 지역으로 돌아오면 우리지역은 무엇이 풍부한가) 인적재원?)사람은 스스로의 균형이 필요한 존재라면ㅡ 먹고 배설하는 내부적인 순환과 외부와의 소통의 필연적인 균형점이 있다면)모든 것이 그렇듯?) 그런데 자원은 정량의 순환이고 물질적인 것은 소수가 소유하고 있다)
청년은 땅이 없어 농사를  짓기도 어렵다)직업도 기존의 사람들이 유지하고 있어 끼어들기 어렵다) 흘러야한다 순환해야한다?) 무엇이?)발전이 자신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한다)돈은 기술은 정보는??)상위로 흐르나) 무엇이 제한적이고 무엇이 공개적일수 있나)상위로 몰리는 재화와 정보는 순환 흐를수 있는가 ) 만약 정량의 재화라면 적절히 순환되어야한다면 그래야 각자 개인이 균형을 찾고 개인이 모여 전체가 균형을 찾는다면 재분배는 필요한가) 기득권자는 협력하려할까)전체의 역할) 복지?)지역과 개인의 균형)전체를 하나의 몸으로 본다면 전체는 어디까지 공정할수는 있는가) 기술 정보 재화 땅 건물 운송수단  자원 등을 전체적인 공정아래 지역적 개인적행복의 균형점을 찾는다면) 어떻게 찾을 것인가

무엇을 할수 있는가ㅡ
기존의 습은 계속 유지하려하고
새로운 시작은 모습을 갖추려한다)정량이 순환되지 않았을 때는 투기가 된다) 소수의 기득권을 향한 고군분투)

무엇을 할수 있는가ㅡ
일단 사람이 있다) 모든 활동과 재화의 근원)
기존의 상향의 경제체제에 들지 않은 청년도 많이 있다) 체제를 새롭게 모색하는 수밖에는 없을가 모순적인 체제를 보완한다는 면에서 할수 있는 접근을 한다?)자유는 전체는 제한되어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균형점 ㆍ순환의 상태 ㆍ적정한 상태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데서 시작?)

무엇을 할수 있는가
사회적경제민주주의? 

하나의 방편으로 협동조합은 왜 실패했을가
고급기술은 충분했는가
조직연대기술은 어떻게
충분한 투자재화는 어떻게
인재양성은 어떻게
수요와 공급의 안정망 소통망 어떻게
 ㅡ 월급은 충분히 주나? 안정적인가? 복지는?

청년수당의 당사자들에게
국가가 정보와 기술과 재원과 할수있는 
지원을 하겠다는 동의서ㅡ
사회적경제활동국민권?
사회적경제활동시민권? 
사회적경제활동조합원? 동의권 등으로
연대를 도모한다면?

연대를 해야만할까 ㅡ
사람이 있다
모든 것의 시작 사람에게서 시작한다
할수있는 것은 무엇인가?
뉴제네레이션 무브먼트
청년운동의 시작

연대를 통한 새로운 체제의 변화시도

사회적경제민주주의 어떻게 이룰것인가?

어떻게 개인이 모여 전체에게로
전체는 개인에게로 순환할것인가
어떻게 상생이라는 접점의 균형을 이룰것인가

자원 재화 정보 기술 부동산이 소수의 기득권화 되어간다면 다수의 소외자들은
무엇을 할수 있는가

사람의 생채리듬 인생그래프를 보면
평생 매일 매시간 일만 할수는 없다
밥도 먹어야하고 문화를 즐기고 
아이를 낳아키우고 부모에게 효도하고
산책하고 여행하고 등등
적절하게 모여 일상이 완성된다
건강한 삶이란
건강한 가정이란
건강한 양육이란
건강한 생활이란

만약 모든 사람이 일을 하더라도
일정한 시간이상 일을 할필요는 없다
나누어서 하고 기계로하면 쉬는 시간은
늘어난다

그러면 나머지 시간에는 하고싶은거 하고
놀고 쉬는것이다 당연하다
때론 노는 것이 일이다


그러나 재화의 이동수단이 필요하다
소통 순환이 되어야하기때문이다
직업을 가지고 정해진 일을 하는 것이고 
서로에게 필요로
하는 교환적 가치가 주어진다면 거래는 성사
되는 것이다

그런데 소수에게 재화가 묶여있고 재화의
 이동수단인 직업이 소수의 권력과 기득권에
의해 제한되고 있다면
자신들이 원하는 곳으로의 발전을 하려면
무엇을 할수 있고
누구에게 도움을 청하고
연대를 맺을 것인가

어떻게 전체인 정부에 UN? WTO?에 도움을 구하고
무엇을 요구할수 있는가
정부는 무엇을 할수 있는가
어떻게 스스로를 도우도록 
전체에게 할 것인가
소수와 기업의 기득권을 지나친 
자유의 흐름을
균형으로 소통으로 사람에게로 당사자에게로 끌어올것인가

소통ㅡ 무엇으로
무엇을 순환할것인가
무엇을 순환할수 있는가

연대의 필요성?
무엇을 할수 있는가

협동조합은 무엇이고
건강한 조직과 기업은 어떠한가

무엇으로 
무엇을 순환할 것인가
일단 재화
그리고 복지 즉 건강한 생활이 보장된다면
무엇으로

기술?

무엇이 필요한가


무엇이 있는가
사람

무엇을 할수 있는가
연대

사람은 모든 경제활동의 근본이다

얼마나 모이냐가 관건일까

무엇을 할것인가
무엇을 할수있는가

연대해서 무엇을 할 것인가
생산 소비 생활 
인적물적기술문화적재화의 교환의 연대
취업 창업 기업화 조직화

서로 필요한 걸 만들어서 쓴다
고급화 편리화 
조직의 발전 
연대의 진화?

협동조합??
고급기술 고급인재 충분한재화자원은 어떻게

무엇을 할수 있는가
무엇을 하고 싶은가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보았습니다
부족하지만 엉뚱하지만
생각해보았습니다
공감 버튼 공감
전체인원50 공감수0


비공감 버튼 비공감
전체인원50 비공감수0

투표기간 2018.02.21. ~ 2018.03.23.

이 글에서 새로운 제안이 떠오르셨나요?

유사 제안 바로하기
상상대로 서울 서울시 웹접근성 품질인증

(04524)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서울특별시청 2층

대표전화 02-120